기레기를 피하는 53가지 방법/ 송승환 지음/ 박영사 펴냄

 

“아주 남녀 편 갈라서 싸우라고 고사를 지내는군요. 이게 기삿거리 되는 내용인가요?”, “기사 수준 매우 낮네 진짜”, “호기심만 자극하는 이런 옐로우 뉴스만도 못한 걸 기사라고 올리고 있냐. 기레기라는 말이 왜 나오는지 알겠다”, “커뮤니티 글 기사화 좀 그만해라. 인터뷰하고 진짜인지 확인하고 쓰고. 여기가 개인 블로그냐?” 등.

인터넷 커뮤니티 글을 그대로 베껴 쓴 기사들에 달린 댓글들이다.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을 확인 취재 없이 그대로 베껴 보도한 기자들이 독자들의 뭇매를 맞았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따르면'이라는 인용 문구에 한 번의 취재 과정 없이 이 같은 기사를 쓰는 이유는 기사 조회 수 때문이다. 조회 수는 포털(네이버, 다음)·광고 등 여러 면에서 언론사 수익과 직결된다.

▲기레기를 피하는 53가지 방법

'기레기를 피하는 53가지 방법' 저자인 송승환 중앙일보 기자는 언론 스스로 가장 값비싼 신뢰라는 가치를 몇 푼 안 되는 클릭 수와 바꿔서 포기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부분의 언론사에는 속보만 담당하는 인터넷뉴스팀이 있는데, 여기서는 발제, 작성, 출고를 모두 스스로 한다.

SNS에 뜬 어떤 화제를 베껴서 쓰는 데 10분도 걸리지 않는다. 일단 속도를 따라잡고 여론의 관심을 선점하기 위해서이런 뉴스를 계속 접하는 시민들은 이제 '뉴스도 틀릴 수 있다'는 생각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했다.

송 기자는 커뮤니티 받아쓰기 기사 제작 과정 말고도 '직접 취재한 기사'들이 어떻게 보도되는지 알려준다.

직접 취재한 기사는 커뮤니티 받아쓰기 기사와 취재 과정이 확연히 다르다. 언론이 작동하는 방식, 기사를 만드는 과정 등을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알려야 언론에 대한 비판과 견제가 더 정확해질 것으로 봤다.

저자는 중앙일보와 JTBC에서 지난 6년간 기자 생활을 하며 취재한 53가지의 에피소드를 통해 기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대형 사건은 예고 없이 찾아온다. 2016년 중앙그룹에 입사한 그는 사회부 사건팀에 배치돼 서초경찰서를 출입하게 된다. 같은 해 5월17일 밤늦게 1진 선배가 “거기에 오늘 살인범 한 명이 잡혀 왔다. 살해 동기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있다면 무엇인지 알아와라”라고 지시한다.

그는 선배 지시를 가볍게 생각한 후 “확인되지 않는다”고 보고하고, 서초경찰서 기자실에 있는 침낭에 들어가 푹 잔다. 다음 날 한 신문사 사회면 톱에 “여성이란 이유로… 묻지마 아닌 '여혐' 살인” 기사가 보도됐다. 그는 이 사건을 이후로 어떤 사건도 소홀히 보지 않게 됐다.

제보자 입을 열기 위한 수차례의 '뻗치기' 경험도 등장한다. 홍만표 전 검사장의 법조비리 사건을 보도하기 위해 무턱대고 취재원을 찾아간 사건, 이명박 정부 당시 UAE 비밀 군사협정 취재를 위해 김태영 전 국방부 장관 집 앞에서 기다렸던 일화, 195억원을 재단에 기부한 황필상 구원장학재단 이사장이 140억원 세금 폭탄을 맞은 후 대법원 승소 뒤 했던 인터뷰,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당시 “염병하네”를 외친 특검팀 입주 건물 청소노동자 임애순씨를 수차례 설득해 인터뷰했던 일화 등이 책에 담겼다.

 

경북 탑뉴스는 연합 뉴스와 기사 제휴 매체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 탑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