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근본 원리 사성제(四聖諦)인 고집멸도

 

아내를 4명이나 둔 남자가 있었다. 

그는 첫째 부인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자나 깨나 늘 곁에 두고 살았다. 

둘째 부인은 아주 힘겹게 얻은 아내다. 사람들과 피투성이가 되어 싸우면서 쟁취한 아내로 사랑 또한 극진했다. 그 남자의 둘째 부인은 든든하기 그지없는 성(城)과도 같은 존재다. 

특히 그는 셋째 부인과 도 마음이 잘 맞아 늘 같이 어울려 다니며 즐겁게 지냈다. 

반면 넷째 부인은 늘 무관심한 상태로 항상 하녀 취급 받으며, 온갖 궂은일을 다하면서도 전혀  싫은 내색 한번 하지 않고 시키는 대로 다 했다.

세월이 흘러 남자가 먼 나라로 떠나게 되자 첫째 부인에게 같이 가자고 했다. 

그러나 첫째는 고개를 흔들며 냉정히 거절했다. 충격을 받은 남자는 둘째 부인께 함께 가자고 했지만 둘째 도 거절했다. 둘째는 첫째도 안 따라가는데 내가 왜 가느냐며 반문했다.

할 수 없이 셋째 부인께 같이 가자고 하자 셋째는 난 성문 밖까지 배웅해 줄 수는 있지만, 더 이상 못 간다고 거절했다. 

첫째부터 셋째까지 모두 거절당하자 크게 낙담한 그는 마지막으로 넷째 부인께 같이 가자고 했다. 그런데 당연 거절할 줄 알았던 그녀는 “당신이 가는 곳이면 어디든 따라가겠다.”고 승낙했다. 

그래서 남자는 넷째 부인만을 데리고 머나먼 나라로 떠났다.

불교 경전 잡아함경(雜阿含經)에 나오는 ‘남자는 한 인간을 네 명의 아내는 육체, 재산, 친족, 업보’ 를 가르친다.

먼 나라는 죽음을 뜻하며 첫째 아내는 육체로 몸이 곧 나라고 생각하고 애지중지 함께 살아가지만 육신은 죽은 후 더 이상 함께 할 수 없다.

둘째 아내는 재물로 인생사에 무엇보다 소중한 성처럼 든든한 피땀 흘려 모은 재물도 저승길에는 가져갈 수 없다. 

셋째 아내는 일가친척, 친구들로 마음과 뜻이 맞아 늘 같이 어울려도 성문 밖 무덤까지는 따라와 주지만 저승길까지는 동행할 수 없다. 처음과 달리 시간이 지나면 모두 잊어버린다. 

넷째 아내는 바로 마음으로 생전에 지은 업보(業報 카르마)로 살아생전 무관심한 천덕꾸러기였지만 죽을 때 어디든 따라가겠다고 나서는 것은 몸과 마음으로 지은 업보 때문이다

이처럼 밝게 닦은 마음과 적선(積善)의 공덕은 사후에도 그대로 이어져 영혼의 여정에 밝은 빛을 비추게 되지만 반면에 원척(冤慼)으로 일그러진 마음과 악덕(惡德)은 사후에도 그대로 이어져 영혼의 여정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게 된다.

불교의 근본 원리 사성제(四聖諦)인 고집멸도가 있다.

고(苦)는 인생의 고통, 집(集)은 번뇌의 집적, 멸(滅)은 번뇌를 멸하여 없게 한 열반(涅槃), 도(道)는 열반에 이르는 방법을 뜻한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인생을 찰나(刹那)라고 말한다.  불교에서 말하는 시간의 최소 단위로, 지극히 짧은 시간을 말한다. 짧은 시간을 표현하는 말로 ‘순식간(瞬息間)’도 있는데, ‘순’은 눈 한 번 깜빡거리는 데 걸리는 시간, ‘식’은 숨을 한 번 내쉬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하며, 24찰나에 해당한다.

이처럼 짧은 인생사에 부귀영화나 재물도 결국 저승길에는 동행치 못해도 그동안  지은 죄(업보)는 저승길까지 같이가 짧은 인생 살이에서 어떤 마음으로 어떤 행(行)을 짓느냐가 사후의 삶 또한 규정짓는 것이다.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은 “삼일 수심(三日修心)이 천재보(千載寶)”요. “백년 탐물(百年貪物)이 일조진(日朝塵)”이라고 했다.  

생전에 마음을 맑고 밝고 깨끗하게 가지고 적선(積善)과 적덕(積德)을 많이 하는 것에 인생의 참된 의미가 있다는 뜻이다. 

 

경북 탑뉴스는 연합 뉴스와 기사 제휴 매체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 탑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