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중대선거구 검토 필요에 김진표 국회의장도 개정 주문
한 선거구 1~4명 선출 고려..여야 합의 도출 회의적 시각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중대선거구제’가 새해 벽두 정치권의 화두로 떠올랐다. 

이처럼 중대선구제가 정치권 이슈로 떠오른것 은 2일 윤석열 대통령이 “중대선거구제를 통해 대표성을 좀 더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밝혔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선거구를 중대선거구제로 하기보다는 지역 특성에 따라 한 선거구에서 2명, 3명, 4명을 선출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고 했다.

특히, “현행 소선거구제는 전부 아니면 전무로 가다 보니 선거가 너무 치열해지고 진영이 양극화되어 갈등의 골만 깊어졌다” 고 지적했다.

이런 사실이 조선일보를 통해 보도되자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지난번 국회의장단과 만난 자리에서 선거법과 정당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대화가 오가 그 연장선의 얘기일뿐  윤 대통령이 선거제 개혁의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한 것은 아니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대통령에 앞서 김진표 국회의장도 여야에 오는 4월까지 선거법을 개정해달라고 주문한 바 있다. 김 의장은 지난달 26일 여야 정개특위 위원들을 의장 공관으로 초청해 만찬을 하면서 “총선 1년 전인 2023년 4월(법정기한)까지 선거법을 개정해야 한다”며 각 당에 2월까지 선거법 개정안을 제출해 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고 이와함께 국회의원 전원위원회를 통한 논의도 제안했다.

현행 국회의원 선거제도(소선거구제+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승자독식으로 이어진다. 2020년 총선에서도 1256만여표(43.7%)는 사표가 됐고, 사표는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한 수도권·호남과 국민의힘이 65석 중 56석을 점한 영남에서 컸다.

선거제가 유권자 뜻을 오롯이 반영하지 못하고 지역 독점을 심화한 것이다. 거대양당이 급조한 비례대표 위성정당도 표심을 왜곡하고 소수정당의 국회 진출을 막았다.

이처럼 소선거구제는 후보자가 정당 공천에 더 매달려 여야 정쟁만 커지는 악순환이 이어지자  극단적인 ‘대결 정치’ 뿌리에 승자독식 소선거구제가 있다는 정치권의 각성은 시의적절하고 의미도 크다.

이런 상황으로 특위 소속 여야 의원들은 대체로 중대선거구제 도입에 긍정적인 분위기다. 특위 정치관계법 심사소위원장인 국민의힘 조해진 의원은 “대통령은 이미 대선 경선 때부터 중대선거구제 필요성을 강조했고, 당 지도부도 같은 생각으로 안다”며 “선거구제 개편은 어떻게든 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정개특위 간사인 전재수 의원도 “소선거구제는 여야를 막론하고 망국적 제도라고 보고 있다”며 “의장 주문대로 2월 안으로는 여당안과 야당안을 만들어서 3월에는 두 안을 갖고 토론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과 입법부 수장이 띄운 ‘중대선거구제’ 논의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의 공직선거법 개정안 법안 심사와 맞물려 있다. 특위 내 정치관계법 심사소위는 최근 관련 법안들을 일독하고 오는 10일께부터 본격적인 심사에 들어갈 방침이다. 2월에는 전국을 돌며 선거제 개편과 관련한 공청회를 열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중대선거구제는 1개 지역구에서 2∼3인의 대표를 뽑는 방식이며, 소 선거구제는 현재 국회의원 선거처럼 1개 지역구에서 1명만 선출하는선거구제로 실제 여야 합의로 중대선거구제 도입이 이뤄질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일부 현역 의원들의 반발을 비롯해 선거구 획정·비례대표 의원 정수·연동형 비례제 폐지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이런 상황에서 3개월여밖에 남지 않은 선거법 개정 시한 내에 여야가 합의를 도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경북 탑뉴스는 연합 뉴스와 기사 제휴 매체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 탑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