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 총 인구수 50만3404명, 2014년 51만9천명대 52만명 밑돈 후 다시 감소 추세
- 총인구수 50만명은 지방자치법상 대도시 기준, 포항시 인구 기준 아슬아슬
- 포철 지주사 서울 본사 이전시 인구 감소 대도시 지위 상실 중소도시 전락 우려

포스코 홀딩스 서울 본사 이전으로 격앙 분위기 였던 포항시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포스코그룹이 다음달 2일 출범하는 포스코홀딩스(지주회사) 본사를 서울이 아닌 경북 포항시에 두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지주사 설립과 함께 신설되는 포스코 의 미래기술연구원도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운영키로 했다. 포스코 입장에선 어렵게 기존 입장을 바꿔 결단을 내린 만큼 포항시도 포스코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처럼 포항시가 포스코 홀딩스 포항 조속에 사활을 건 것은 포항시의 세수감소와 인구 감소에 영향을 미쳐 중소도시로 전락할 위기를 맞을까 우려하기 때문이다.

27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포항시 의 총 인구수 50만명은 지방자치법상 대도시의 기준이 된다. 한 마디로 포항시는 아슬아슬하게 대도시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

무엇보다 이 기간 줄어든 인구 대부분이 30대로 파악되는 등 청년인구 유출이 심각하다. 그만큼 포스코에 더욱 기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도시 지위가 흔들릴 정도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포항시는 포스코의 지주사 본사 주소지 선회를 반기는 분위기다.

하지만 재계 안팎에선 기업들이 인프라 측면에서 월등한 서울 등 수도권에 본사나 연구소를 둘 수밖에 없다는데 공감대가 형성돼있다.

특히 회계나 법률, 연구개발, 해외시장 등 각 분야 핵심 인력들은 대부분 수도권에서 출퇴근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직이 잦은 최고급 인재들을 영입하는데 있어서도 근무지가 수도권을 벗어나면 불리하게 작용하기 마련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철강 외에도 에너지 등 다양한 글로벌 사업을 하고 있었고, 원래 지주사 기능도 서울사무소에서 해왔다"며 "무엇보다 다양한 사업분야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주요 인재들을 구하기에도 서울 등 수도권이 더 낫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사업장을 가진 포스코 사업회사의 소재지가 그대로 포항이고, 사실상 지주사 기능을 수행했던 포스코 서울조직 인력 200명 안팎이 지주사로 이동하는 것으로, 지역 경제에 악영향이 없을 것” 이라며 포항지역의 과민한 우려를 지적했다.

포항시 관계자는 "기업의 주요 투자를 결정하는 지주사 본사가 포항에 있어야 자연스럽게 지역투자를 늘려 일자리가 생기고, 인구도 늘고, 지역경제에 선순환이 이뤄진다"면서 "모든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대기업을 유치하려는 이유도 결국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 탑뉴스는 연합 뉴스와 기사 제휴 매체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 탑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