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행정, 재정유추할 실마리 학계 큰 주목을 끌 것

경산에서 발견된 목관

경북 경산에서 6세기에 신라인이 토지 운영과 조세 제도 양상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목간(木簡·글을 적은 나뭇조각)이 발견됐다.

신라 수도 경주가 아닌 지방에서는 나온 목간으로, 내용에 지방 행정과 재정을 유추할 만한 실마리들이 있어 학계에서 큰 주목을 끌 것으로 보인다.

목간은 길이가 74.2㎝이며, 육면에 글씨를 적었다. 사람 얼굴 모양 토기는 제작 시기가 5세기 전반으로 판단됐는데, 목간은 서체나 내용을 근거로 이보다 한 세기 늦은 6세기 유물로 짐작됐다.  목간치고는 상당히 길고, 나무를 일부러 칼로 깎아서 육면을 만들어 신라 변두리 지역에서 목간을 수습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목간 A면에는 '십부감말곡답칠(?)□제상일결 구미곡삼결 제하십부'(負甘末谷畓七(?)□堤上一結 仇彌谷三結 堤下負)라는 글자가 있으며, 다른 면에도 숫자와 논 답(畓), 밭 전(田) 자 등이 있다. 연구소는 그중 답(畓), 골 곡(谷), 방죽 제(堤) 글자와 조세 부과 단위인 결(結), 부(負) 자에 주목했다.

김상현 화랑문화재연구원 연구원은 "토기와 목간이 거의 같이 나왔다"며 "현재로서는 토기와 목간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지름 1.6m인 원형 수혈 유구 성격이 무엇인지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6일 1차 판독 작업을 진행해 글자 94자를 읽었다. 여섯 면 중 두 면은 동일한 글자가 반복해서 나타나 글씨를 연습한 흔적으로 추정됐다.

전경효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주무관은 "6세기에 경산 인근 토지 현황을 적은 토지관리 문서 목간일 가능성이 크다"며 "글자 양이나 글씨 연습 흔적을 보면 현대 업무수첩과 같은 예비문서나 기초문서로, 이후에 정식 문서를 작성했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한편 압독국이 있던 경산에는 6세기 초반에 치성화현·마진량현·노사화현이 설치됐다고 전하며, 소월리에는 소월지를 비롯해 인공적으로 둑을 축조해 마련한 크고 작은 저수지들이 있어 근현대에 건설한 저수지라 하더라도 이전부터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어 주변 지역 조사 필요성도 제기된다.

경북 탑뉴스는 연합 뉴스와 기사 제휴 매체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 탑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